'난공불락' 치매신약…K바이오 "포기는 없다"
화이자 등 글로벌 제약사도 임상 3상 문턱 넘지 못해
치료제 아닌 ‘증상 완화제’만
일동제약·젬백스·아리바이오 등 “다른 기전으로 치료제 개발”
쓴맛 본 메디포스트도 재도전
제약사들의 치매 치료제 개발이 잇따라 실패하고 있다. 세계에서 5000여만 명의 환자가 치매로 고통받고 있지만 글로벌 제약사들마저 마땅한 치료제를 내놓지 못하고 있다. 국내 업체들은 기존 치료제와 다른 기전을 가진 치료제로 임상에 진입하고 있다.
▌2024년 13조원 규모 시장에 치료제 無
‘난공불락’ 치매신약…K바이오 “포기는 없다”
메디포스트(31,800 0.00%)는 치매 치료제 개발 일정을 전면 재검토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 업체는 지난 7일 알츠하이머 치료 후보물질인 ‘뉴로스템’의 임상 결과를 발표했다. 제대혈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로 만든 이 후보물질은 인지 능력 개선 항목에서 유의미한 치료 효과가 나오지 않았다. 하지만 메디포스트는 3년에 걸친 환자 장기 추적 결과를 보면서 치료제 개발에 재도전할 계획이다. 알츠하이머 치매 유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아밀로이드베타, 타우 등의 단백질이 일시적으로나마 줄어드는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업계에 따르면 치매 치료제의 올해 세계 시장 규모는 3조원 수준이다. 2024년께는 15조원에 달할 전망이다. 국제알츠하이머학회는 치매 환자 수가 2018년 5000여만 명에서 2030년 7470만 명으로 50%가량 늘어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하지만 세계에서 허가된 치매 치료용 약물은 도네페질, 갈란타민 등 5개뿐이다. 이마저도 두세 달이 지나면 호전되던 증상이 원래대로 돌아오는 수준이다. 이들 약물이 ‘치료제’가 아니라 ‘증상 완화제’로 불리는 이유다.
치매 치료제 개발은 다국적 제약사들도 해결하지 못한 난제로 꼽힌다.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존슨앤드존슨, 일라이릴리, 바이오젠 등도 임상 3상 문턱을 넘지 못했다.